대학원 생활/교육대학원 준비 과정

HRD 교육대학원 진학을 위한 준비 - 학업계획서

노무법인 새솔 본사 2019. 5. 18. 21:53

HRD 교육대학원을 진학하기로 결심을 하고 여러 후기를 찾아보았지만 자세한 설명이 되어있는 글은 거의 없었습니다. 혹시라도 저와 같이 HRD 대학원을 준비하시는 분이 계시면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후기를 남깁니다.

 

대학원에 진학하려는 마음을 먹고 가장 먼저 준비한 것은 '학업계획서'입니다. 3개월 정도 고민하면서 학업계획서를 작성하였습니다. 대학원의 학업계획서는 거의 자유양식이지만, 자기소개, 지원동기, 연구계획, 졸업 후 진로 등을 포함합니다. 제가 지원한 곳들이 아직 전형 진행 중이라 얼마나 서류가 중요할지 판단할 수 없지만 그래도 교수님께 학업에 대한 의지와 성실함, 업무 유관성, 비전 등을 구체적으로 알릴 수 있는 기초자료기 때문에 최선을 다해 작성해야 할 것 같습니다. 전 학업계획서 하나를 성실하게 작성한 후, 각 학교에 맞게 조금씩 수정하였습니다. 그래도 아래와 같은 항목은 꼭 포함시켰습니다.

 

1. 자기소개

- 재직 중인 회사, 현재 하고 있는 일, 경력을 소개하였습니다. 저는 중견기업(임직원 수 550명~600명)에서 공채로 입사하였고 HRD는 5년 이상 수행하였다고 적었습니다.

 

2. 지원동기

- 교육담당자라면 누구나 비슷한 고민을 하겠지만 저는 무엇보다 제가 하는 교육 업무가 회사에 성과에 도움이 되는지 알 수 없었고 이게 제 일의 최선인가 라는 물음부터 시작되었다고 솔직하게 적었습니다.

- 또한 개인적인 목적 외에도 기업 내 교육이란 조직의 성과뿐 아니라 사회 발전에도 기여하는 분야임으로 사회 구성원으로서 성장하고 싶다는 점을 어필하였습니다.

 

3. 연구계획

- 교육담당자에게 가장 핵심적인 직무는 '문제해결'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제가 속한 조직 내 문제를 사회문제와 결부시켰고 그 내용을 충실히 담았습니다. 보통 학업계획서 내의 연구계획은 대학원 생활을 하며 거의 바뀐다고 들었지만 저는 진심으로 관련 연구를 하고 싶기에 이 부분을 어필하였습니다. 제가 관심 있는 분야는 여성 인적자원의 경력개발입니다. 연구계획은 정말 연구하고 싶은 분야를 적으시는 게 좋습니다. 그 이유는 면접 후기에 말씀드리겠습니다.

 

4. 졸업 후 진로

- 교육대학원은 특수대학원이므로 대다수 직장인들이 지원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저 역시 직장인이기에 일반 대학원은 지원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졸업 후 진로는 대학원에서 배운 내용을 현업에 적용하겠다는 식으로 풀었습니다. 

 

5. 기타

- 자유양식이지만 제가 지원한 학교 중 한군데는 기타 경력 및 특기사항을 적는 곳이 있습니다. 저는 어렸을 때부터 특기를 쓰는 것이 어려웠습니다. 잘난 척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본인만큼 본인의 장점을 잘 아는 사람은 없겠죠. 저는 학부 전공을 하면서 배운 점과 자격증 등을 적었고 짧은 강의 경력을 적었습니다.